안녕하세요~
오늘은 데이터 관련 자격증에 대해 소개해 드리려고 해요!
사실 가이드라인 없이 데이터 사이언스를
혼자 무작정 공부하는 건 너무 어려운 것 같아요 ㅠ^ㅠ
수학 / 통계적인 지식은 얼마나 필요한지,
알아야 할 프로그래밍 언어는 무엇인지,
어디서부터 시작할지 모르는 분들은
자격증 공부를 시작해 보는 게 좋을 것 같아요!
그래서 오늘 소개해드릴 자격증은
ProDs (Professional Data Scientist) 자격증인데요,
삼성SDS 와 멀티캠퍼스가 공동 주관하는
Data Scientist (DS) 민간 자격입니다.
ProDS는 기존에 있던
ADsP와 ADP 자격증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Pro DS 자격증만의 장점은
무엇이 있을지 알아보겠습니다!
아 그리고, SDS에서 Brightics 서포터즈를 위해
ProDS 시험 (Associate DS 레벨)
응시료 전액 지원 혜택을 주신다고 하네요!
9월에 시험 보기로 했으니
시험 보고 후기도 올려볼게요!!
서포터즈만의 특별한 혜택에 매우 gamdong,,

1) ProDS의 특장점
먼저, ProDS 자격증만의 차별점은
1) 객관성과 신뢰성:
2018년 이후 삼성그룹사 임직원 1만 5천 명 평가
응시 최고 수준의 현직 Data Scientist 가 문항 출제 및 검증
2) 현장 활용성:
실무 능력 검증을 위해 전 등급 실기
& 필기 통합 평가와 비즈니스 현장 데이터 활용 문제 출제
3) 수험자 편의성:
실기시험 응시 분석툴 선택 가능 (Brightics / Python / R 중 택 1)
월 1회 응시 가능, 7~14일 내 성적 확인 가능
개인적으로 ProDS의 큰 장점은
자격증을 공부하면서
삼성그룹에서 쓰는 데이터 분석 툴 Brightics를
미리 경험해보고 다룰 수 있다는 점
이라고 생각해요!
프로그래밍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쓰는 툴에 미리 익숙해진다면
큰 메리트가 될 것 같네요!
2) Pro DS 등급 및 응시자격
ProDS 자격증은 초급/중급/고급 등급으로 나뉩니다.
초급: 기초 통계 활용 데이터 정리 및 해석 가능
중급: 통계 및 중급 머신러닝 기법 활용 / 독자적 데이터 분석 가능
고급: 비즈니스 문제 해결을 위한 데이터 모델링 최적화 가능
3) ProDS 등급별 출제 범위
아래 사진은 등급별 출제 범위입니다.
요즘 서포터즈 그룹 멤버들이랑
'브라이틱스와 함께하는 데이터 분석' 책으로
스터디 하고 있는데,
다행히도 공부하고 있는 범위가
출제 범위랑 겹치네요..!!
4) ADsP, ADP 와 비교
일단 ProDS 와 ADsP/ ADP의 차이점은
응시 방법과 응시 자격인 것 같은데요,
ProDS의 필기 응시 방법은 시스템 기반,
ADsP / ADP는 Paper Based Test입니다.
ProDS의 실기 응시 방법은 시스템 기반,
ADsP는 실기시험이 없고, ADP는 Computer Based Test입니다.
그리고 ADsP를 취득한 자만 ADP의 응시자격이 주어지는데
ProDS의 DS(중급) 혹은 Senior DS(고급) 은
필기는 응시자격 제한이 없고
실기는 필기시험 합격 후 2년 내에 볼 수 있다고 합니다.
중급과정 혹은 고급과정을 볼 준비가 되었다면
초급과정을 굳이 안 봐도 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돈 아낄 수 있음)
자격증에 대해 더 궁금하다면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 주세요!
https://certi.multicampus.com/ie/intro/introProds?p_menu=MTMxMDUjTUFJTg==&p_gubun=Qw==
멀티캠퍼스 :: 직무교육전문
데이터사이언스, 프로그래밍, UXUI, 마케팅, 블록체인, 보안, 웹개발, 디자인 실무교육
certi.multicampus.com
[본 포스팅은 Brightics 서포터즈로서 직접 체험하고 작성한 리뷰입니다.]